-
OSI 7 Layer & TCP/IP Layer - 인터넷에 명시된 정의와 필자의 정리네트워크/STUDY 2018. 12. 19. 03:49반응형
OSI 7 계층, TCP/IP 4 계층에 대해서 네트워크 입문자라면 들어봤을 단어고 몰라서는 안 될 정보이다.
우선 네이버에 정의 되어있는 OSI 7 계층과 TCP/IP에 대해 알아보고 내가 정리를 해보겠다.
OSI 7 계층이란?
모든 네트워크 통신에서 생기는 여러가지 충돌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국제표준기구(ISO)에서 표준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한 기본 모델로써 통신망을 통한 상호접속에 필요한 제반 통신절차를 정의하고 이 가운데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을 동일계층으로 분할하여 모두 7계층으로 분할한 것이다.
‣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의 7개 계층구조
네트워크 계층 1. Physical layer
(물리층)물리적 신호를 전송해 정보를 교환
2. Data link layer
(데이터링크층)가공되지 않은 내용의 전송을 담당하는 물리층을 신뢰성 있는 링크로 변환시켜 주고 노드-대-노드 전달(node-to-node delivery)함
3. Network layer
(네트워크층)패킷을 발신지로부터 여러 네트워크(링크)를 통해 목적지까지 전달함
전송층
4. Transport layer
(전송층)전체 메시지의 프로세스-대-프로세스 전달을 함
사용자 지원계층
5. Session layer
(세션층)네트워크의 대화 조정자로 통신하는 시스템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설정·유지하고 동기화 함
6. Presentation layer
(표현층)두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는 정보의 구문과 의미에 관련되어 변환, 압축 및 암호화를 담당함
7. Application layer
(응용층)사용자(사람 또는 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TCP/IP 4 계층이란?
컴퓨터 간의 주고받는 메시지를 전송할 때 에러가 발생하지 않도록 알맞은 크기로 나누어져 전송하고 이를 받아서 다시 원래의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약속해 놓은 것이다. TCP/IP는 1960년대 말 미국방성(ARPA)의 연구에서 시작되어 1980년대초 프로토콜 모델이 공개된 바 있다. 이는 인터넷 프로토콜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TCP와 IP의 합성어로 인터넷 동작의 중심이 되는 통신규약으로 데이터의 흐름 관리, 데이터의 정확성 확인(TCP 역할),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송하는 역할(IP 역할)을 담당한다.
TCP/IP는 응용 계층, 트랜스포트층, 인터넷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의 4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응용 계층은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요청을 받아서 이를 적절한 메시지로 변환하고 하위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트랜스포트층은 IP에 의해 전달되는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고 재전송을 요구하는 등의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으로 TCP, UDP 두 종류의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그리고 인터넷층은 전송 계층에서 받은 패킷을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만 고려한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은 특정 프로토콜을 규정하지 않고, 모든 표준과 기술적인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계층으로서 프레임을 물리적인 회선에 올리거나 내려받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TCP/IP는 OSI 참조모델과 비교할 때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가진 응용 프로그램 계층이 존재하고, 전송계층/네트워크 계층과 호환하는 계층이 존재한다는 공통점을 가지는 반면, TCP/IP 프로토콜의 응용 계층은 OSI 참조모델의 표현계층과 세션계층을 포함하며 ,TCP/IP 프로토콜은 물리계층과 데이터 링크계층을 하나로 취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 필자의 정리 -
OSI 7계층은 국제산업기구(ISO)에서 정의하였으며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계층 - 세션 계층 - 표현 계층 -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이루어 져있고 내가 외울 때에는
전기적 신호인 물리계층 - MAC 기반 데이터링크계층 - IP기반 네트워크 계층 - 전송 방식(TCP/UDP)를 결정하는 전송 계층 - 연결성을 확립하는 세션 계층 - 압축 및 암호화를 관리하는 표현 계층 - 사용자와 직접 인터페이스로 소통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외웠다.
TCP/IP는 ARPA에서 정의하였으며 OSI 7 계층은 현재 네트워크를 다룰 때 계층을 나누어 더 편리하게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 졌고 TCP/IP는 네트워크를 이해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구조이다.
인터페이스 계층 - 인터넷 계층 - 전송 계층 -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OSI 의 1,2 계층이 인터페이스 계층
3계층(network)이 인터넷 계층
4계층(transport)이 전송 계층
5,6,7 계층이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통합되었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이번 글에서는 아주 간단히 겉핧기 식으로 풀어보았다. 처음 접하는 사람은 그냥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서 다음 글을 보면 더 이해가 쉬울듯 하다.
다음 글에서는 각 계층마다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수행하기위해 어떤 장비가 있는지 자세하게 다뤄보도록 하겠다.
'네트워크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bnet Mask (2) - 서브넷팅 해보기 (3) 2019.01.24 Subnet Mask (1) - 서브넷 마스크란?? (3) 2019.01.23 IP란? -IP의 정의 (0) 2018.12.22 OSI 7 Layer & TCP/IP Layer - 계층별 설명 (0) 2018.12.19 네트워크란? (0) 2018.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