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P란? -IP의 정의네트워크/STUDY 2018. 12. 22. 18:19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IP의 정의, 데이터 전송단위인 패킷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패킷트레이서를 통한 패킷의 내용 캡쳐를 해보겠다.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IP주소란 인터넷에서 호스트간 통신을 할수있게 주어진 32비트로 이루어진 고유 주소를 IP주소 라고 한다. IP주소의 범위는 0.0.0.0~255.255.255.255까지고 IP하면 떼어낼 수 없는 것이 서브넷 마스크이다.
서브넷 마스크는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
서로간의 IP주소를 같은 대역대로 만들어서 통신을 할 수 있게 할 것인가
다른 대역대로 만들어서 통신을 할 수 없게 할 것인가를 정해준다.
서브넷 마스크의 정의와 IP와의 관계는 다음에 정의하도록 하겠다.
앞서 OSI 7계층에서 설명 했듯이 IP로 통신을 하는 계층은 3계층(네트워크 계층)이며 데이터의 단위는 패킷이라고 언급 한 적이 있다.
그럼 이 3계층에서 사용되는 패킷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보겠다.
우리집에서 이 글을 읽는 어느 한 독자의 집으로 편지를 쓴다고 생각해보자. 편지에는 우리집주소, 상대의주소, 편지내용, 보낸시간, 편지의 동봉여부(풀, 테이프, 양면테이프), 편지지의 종류 등 이런 모든 정보가 종합되어 있다.
이것을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패킷으로 본다면,
우리집 컴퓨터에서 상대편 컴퓨터와 통신을 한다고 생각해보자. 이때 전송하는 데이터는 IP와 IP사이 이므로 패킷이고, 이 패킷에는 내 컴퓨터의 주소, 상대편 컴퓨터의 주소, 패킷에 담겨있는 메세지, 그 메세지의 종류(ASCII, EBCDIC 등), 메세지 암호화나 부호화 여부(MD5) 등 모든 정보가 종합되어 있다.
아직도 이해가 안되는 분들을 위해 CISCO에서 교육용으로 보급한 Packet Tracer를 사용해서 패킷의 내용을 캡쳐해 보겠다. (패킷트레이서의 사용법은 STUDY카테고리가 아닌 기타카테고리에서 설명하겠다.)
우선 간략하게 내 컴퓨터와 독자간의 컴퓨터를 연결해 보았다.
Ping이라는 명령어를 통해 내컴퓨터에서 독자의컴퓨터까지 패킷을 보내보겠다.
Reply(응답)이 왔으니 통신에 성공한것이다. 그럼 과연 이 Ping이라는 명령어를 통해 발생된 패킷 안에는 무엇이 들었을까 확인을 해보자.
그림을 보면 내컴퓨터와 독자의 컴퓨터가 주고받는 패킷의 모습이 보인다.
또한 우리가 앞서 여러 게시물을 통해 설명해왔던 OSI 7계층을 정확하게 구현해놓았다.
1계층 물리 포트, 2계층 MAC주소를 사용하는 데이터링크 계층, 3계층 I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계층까지.
이제 우리는 IP에 대한 것을 공부했다. 그럼 다음시간엔 어떤 것을 공부 할 것인지 감이 올 것이다.
그렇다 이 글을 통해 궁금증을 해결하지 못했던 Subnet Mask(서브넷 마스크) 그리고 이 서브넷 마스크가 IP에 어떤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PS. 직접 캡쳐는 몹시 힘듭니다 ㅠㅠ 무단 배포는 참아 주세요 ㅠㅠ
자신의 IP 보는 방법 << 클릭
'네트워크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bnet Mask (2) - 서브넷팅 해보기 (3) 2019.01.24 Subnet Mask (1) - 서브넷 마스크란?? (3) 2019.01.23 OSI 7 Layer & TCP/IP Layer - 계층별 설명 (0) 2018.12.19 OSI 7 Layer & TCP/IP Layer - 인터넷에 명시된 정의와 필자의 정리 (0) 2018.12.19 네트워크란? (0) 2018.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