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STUDY
-
라우팅의 종류 #1. RIP네트워크/STUDY 2019. 5. 13. 15:29
앞서 우리는 라우팅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배워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앞서 우리가 이용했었던 infra를 활용하여 PC0에서 PC1로의 통신을 가능하게 만들어 보자. 먼저 RIP이란 Routing Information Protocol의 약자로 버전1과 버전2로 나뉜다. 홉 카운터라는 단위를 사용하며, hop은 최대 16개로 제한되어 있다. 홉은 한 라우터, node를 지날 때 마다 1이 증가하는데, 이 뜻은 router 16개를 지나서 통신을 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는 말과 같다. version 1은 classful routing인 반면 version 2는 classless routing이다. 예전에는 A,B,C,D 클래스로 나뉜 후 서브넷팅 개념이 도입되지 않았었다. 그래서 Version 1 RIP에서는..
-
라우팅이란?네트워크/STUDY 2019. 5. 13. 14:41
앞서 우리는 스위치와 라우터의 역할에 대해 배웠다. 스위치는 같은대역대, 라우터는 다른대역대라고 한다면 실제 우리가 사용하는 인프라에서는 즉, 라우터와 라우터의 사이에서는 어떻게 통신이 이루어 질까? 라우터가 하나인 인프라에서는 큰 문제가 없었다. 왜냐하면 모두 fast ethernet port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이다. MAN, WAN가 같은 광역 통신망에서는 Serial cable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기 때문에, 다른 지역간의 Routing이 이루어 져야 한다. 그럼 시리얼 케이블을 연결하면 통신이 될까? 라우터 port에 serial이 있는 것을 몇 번 보았을 것이다. 다같이 serial에 연결을 하고 ip는 똑같이 기입해 보자. 기존 fast ethernet에 설정 되어 있는 ip를 없애야 se..
-
Switch(스위치) 와 MAC address네트워크/STUDY 2019. 5. 11. 20:04
(이 글을 보기전 subnetmask와 prefix에 공부를 하지 않으신 분들은 본 블로그에 있는 서브네팅을 보고 와주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스위치에 대해 글을 써보도록 하겠다. 서로 다른 대역대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router를 사용하여 통신하고 흔히 WAN(Wide area network)에서 사용하는 장치이다. 그럼 서로 같은 대역대 내에서 통신을 하고, 특히 굳이 같은 네트워크간에 라우터를 사용해서 포트를 공유해 통신을 해야할까? 라고 생각이 든다면 그 해결책은 바로 switch(스위치)다. 스위치는 사용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vlan을 통해서 회사 부서 간 데이터 흐름을 조절 할 수 있고, 여러 컴퓨터를 하나의 lan으로 묶어 라우터에 연결 시켜 외부와 통신을 해주는 역할도 한다. 또한 특별..
-
라우터 IP 입력 및 통신 방법네트워크/STUDY 2019. 5. 8. 00:30
근래 학교를 복학해서 수업에 따라가느라 블로그에 너무 신경을 쓰지 못했다... 이번 시간에는 라우터 통신을 위해 IP를 입력하고 컴퓨터 간에 통신을 하는 실습을 하겠다 먼저 패킷 트레이서를 켜준다. End Device 에 있는 컴퓨터 두개와 Custom made Device에 있는 라우터 2621XM 시리즈를 꺼내준다. Connection에서 점선인 Cross-over 를 꺼내 선을 연결해 준다. (computer와 router 모두 fast ethernet 에 연결 해주면 된다) 이와 같이 올라 갔다면 성공한 것이다. 포트가 빨간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라우터는 기본적으로 보안을 상징하는 장치인데 보안을 위해 모든 포트가 꺼진 채로 올라온다. 포트가 켜지게 되면 초록색이며 패킷 트레이서에서 라우터를 제외한..
-
라우터의 복구, 백업네트워크/STUDY 2019. 2. 25. 00:54
저번 시간엔 라우터 비밀번호 설정에 대해 공부해 보았다. 이번 시간엔 그 설정했던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는 경우에 어떻게 해야 될 지를 공부해 보자. 먼저 라우터는 NVRAM과 RAM이 따로 있다. 앞에 시간에 running-config에 대해 본 적 있을 것이다. running-config는 현재 장치의 기능이 저장 되어있고 startup-config는 라우터 실행 시 초기 기능이 저장 되어있다. 여기서 startup은 NVRAM과 같다. 라우터를 종료하기전 running-config를 startup-config에 복사한다 즉 NVRAM에 저장을 하면 현재 비밀번호나 이런 설정 들이 모두 startup-config로 저장되기에, 라우터를 부팅할 시 앞서 저장한 내용들을 토대로 라우터가 실행된다. 우리가 비..
-
라우터 비밀번호 생성네트워크/STUDY 2019. 2. 25. 00:15
라우터는 사무실이나 회사, 가게 심지어 집에서 까지도 보안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장비이다. 그만큼 접속을 하기 위해선 비밀번호를 빼먹을 수가 없다. 먼저 user mode에서는 ping 이나 traceroute와 같이 확인만을 하기 위한 명령어가 있기에 비밀번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운영자 모드 즉 enable mode, priviledge mode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비밀 번호를 설정 할 수 있다.설정 방법으로는 글로벌 모드에서Router(config)#enable password 12345 이렇게만 입력 해주면 끝난다. 그럼 이 라우터가 자판 입력을 따로 할 수 있는 기기는 아닐테고... 노트북이나 컴퓨터를 통해 접속을 할때 그 콘솔 비밀번호는 어떻게 입력할까?설정 방법으로는 역시 글로벌..
-
라우터의 모드 및 기본 명령어네트워크/STUDY 2019. 2. 24. 23:01
패킷트레이서에서 필자가 인프라를 구축해 보았다. 가장 상위에 존재하는 라우터부터 스위치 컴퓨터까지.이번 시간에는 그 중에서 라우터에 대해 설명을 하도록 해보겠다. 먼저 라우터가 가장 상위에 존재 하는 이유는 네트워크 가장 상위 계층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물론 스위치도 VLAN에 아이피를 줘서 3계층 처럼 사용할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라우터가 그 역할을 담당한다. 한 회사 A가 있고 기획부서, 마케팅부서가 있으며 기획부서에는 2명의 사원이 있고, 마케팅부서에는 3명의 사원이 있다고 치자. 라우터가 회사 A를 담당하고 기획부서, 마케팅부서가 스위치를 담당하며 각 사원이 컴퓨터를 담당한다고 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각 컴퓨터는 192.168.10.1이나 172.16.1.1 같은 사설 대역대를 사용하고 있을..
-
Broadcast, Unicast, Multicast네트워크/STUDY 2019. 1. 24. 03:12
간혹 필자가 설명해 오면서 Broadcast, Unicast, Multicast 를 언급한 적이 있을 것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이는 모두 전송 방식을 의미하다. Unicast의 경우 하나의 트래픽을 하나의 Host에게 1대 1로 전송하는 방식이고Broadcast는 하나의 트래픽을 모든 Host에게 1대 All로 전송하는 방식이며Multicast는 이를 보완해 하나의 트래픽을 지정한 Host에게 1대 N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그림을 보면 이해가 더 빠를 것이다. 각 전송 방식마다 단점은 있기 마련이다.유니 캐스트는 다수에게 전송할 때 트래픽이 증가해서 회선에 부담을 주고브로드 캐스트는 트래픽을 어디로 전송하든 상관없이 모두에게 전송되기에 회선에 부담이 덜 가는 되신 불필요한 트래픽이 발생한다. 기본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