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I 7 Layer & TCP/IP Layer - 계층별 설명네트워크/STUDY 2018. 12. 19. 04:48반응형
앞서 OSI 7 Layer에 대해 대충 이해도가 생겼다면 이제는 각 계층별 역할과 그 역할을 담당해주는 장비에 대해 알아 볼 시간이다. 사용자 지원계층이라고도 하는 세션, 표현, 응용 계층보다는 가장 우리가 많이 접하는 물리,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전송 계층에 대해 자세히 설명 하도록 하겠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물리 계층은 정보를 Bit단위로 즉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 하는 계층이다.
물리 계층의 정보 교환 단위는 bit이다.
대표적인 장비는 단순한 1계층 허브, 리피터가 있다. ( 단순하게 생각해서 전선끼리 주고받는 그 전기전 신호가 맞다.)
데이터 링크 계층(Datalink Layer)
데이터 링크은 쉽게 말하면 MAC Address, Broadcast 도메인 내부에서 정보 교환이라 할 수 있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포인트 투 포인트 간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을 하기 위함이고 이 신뢰성을 위해 MAC Address가 사용 된다.
MAC Address란
데이터 링크 계층의 정보 교환 단위는 frame이다.
대표적인 장비는 2계층 허브, 스위치 등이 있다.
허브와 스위치의 차이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은 라우팅을 통하여 IP로 정보를 전달하는 계층이다. 2계층의 Broadcast Domain에 국한되지 않고 더 뻗어나가 장거리 까지 정보를 주고 받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방이나 한 회사의 부서내에서 정보를 공유하고 주고 받을 때 2계층이 주로 사용된다면
집에서 네이버나 티스토리 블로그를 볼 때는 인터넷 내에서 3계층이 사용되어서 멀리 떨어져있는 곳과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해 하는데에 있어서는 2계층과 거리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면 동일한 역할을 한다고 보아도 무관하다. 따라서 2계층은 MAC, 3계층은 IP로 보면 편하다.
IP란
네트워크 계층의 정보 교환 단위는 Packet이다.
대표적인 장비는 3계층 스위치, 라우터가 있다.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전송 계층은 5,6,7계층에서 종합된 데이터를 어떤 형식으로 전송 시킬지를 정의하는 계층이다.
전송 방식으로는 TCP/UDP가 있다.
TCP와 UDP
TCP는 three hands shaking으로 세 번의 악수(신뢰성 확립)을 통해 데이터를 손실없이 정확하게 전달하는 프로토콜이고, UDP는 이러한 과정없이 손실이 있더라도 빠르고 많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TCP는 손실이 있어서는 안되는 데이터의 교환간(FTP, Telnet, SSH 등등)에 사용된다면 UDP는 스트리밍으로 youtube, 아프리카 Tv, 네이버 등등 처럼 화면이 깨지거나 데이터에 손실이 생기더라도 그저 신속하게 대용량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송 계층의 정보 교환 단위는 Segment이다.
세션 계층(Session Layer)
세션 계층, 연결 계층이라고도 불리며 주 역할은 연결성 확립이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물리적 데이터의 신뢰성이 1,2,3,4 계층을 통해 확립된다면 논리적 데이터의 신뢰성은 이 세션 계층을 통해 확립된다.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은 암호화 부호화 복호화 모두를 총괄한다. 이해하기 편하게 예를들면 ---- A, B가 있을 때 A에서 ASCII코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면 B에서 EBCDIC 코드를 사용하더라도 자신에게 맞게 해석할수 있게 하는 계층인 것이다.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이라고도 하며 사용자 계층이라고도 한다. 1~6계층을 총괄할 정도로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 간에 직접적인 통신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예를 들어 HTTP, FTP 등을 제공한다.
PS. 저는 출처를 꼭 남깁니다. 복사해와서 제가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고친 부분조차 출처를 남겨 저작권에 있어 오해의 소지가 없게 합니다. 그리고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 잘못된 내용이 있다고 생각되시면 언제든지 피드백 달게 받겠습니다.
'네트워크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bnet Mask (2) - 서브넷팅 해보기 (3) 2019.01.24 Subnet Mask (1) - 서브넷 마스크란?? (3) 2019.01.23 IP란? -IP의 정의 (0) 2018.12.22 OSI 7 Layer & TCP/IP Layer - 인터넷에 명시된 정의와 필자의 정리 (0) 2018.12.19 네트워크란? (0) 2018.12.18